6개월 만에 부실기업 전락 이유

2014년 글로벌 불황에도 끄떡 않던 대우조선해양은 단 6개월 만에 부실기업으로 전락했다. 해양플랜트 부실 공사로 발생한 비용을 숨기고, 실적을 과대계상하는 등 회계사기가 만천하에 드러나면서다. 이 때문에 수많은 노동자는 길거리로 내몰렸고, 천문학적인 금액의 혈세가 투입됐다. 그럼에도 대우조선해양의 정상화는 아직도 소원하다. 더스쿠프(The SCOOP)가 대우조선해양의 거짓말을 살펴봤다.

2014년 국내 조선업계에 빨간불이 번쩍 켜졌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감한 선박 발주량이 좀처럼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대를 걸었던 해양플랜트에서 경험 부족을 노출해 비용만 증가한 탓도 있었다. 위기는 실적으로 이어졌다. 현대중공업은 3조원 넘는 영업손실을 냈고, 삼성중공업은 전년 대비 9.1% 빠진 183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이런 와중에 대우조선해양은 나홀로 승승장구했다. 당시 대우조선해양이 발표한 영업이익은 4711억원. 위기는커녕 전년 대비 6.8% 성장을 일궈냈다. 145억 달러(약 15조6919억원)였던 연간 수주목표를 훌쩍 초과(149억 달러)하는 쾌거도 올렸다. 고재호 당시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영업의 신神’이라는 별칭을 얻는 등 찬사를 받았다.

그런데, 새빨간 거짓말이었다. 고 전 사장을 비롯한 대우조선해양 경영진이 이중장부를 쓴 결과였다. 샴페인을 터뜨린 지 반년여가 흐른 2015년 6월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새로 부임하자 상황이 뒤집혔다. 해양플랜트 부실 공사로 발생한 3조여원의 손실이 드러나고, 4711억원의 영업이익은 5651억원의 영업손실로 바뀌었다.



문제는 거짓말이 불러온 나쁜 나비효과가 숱하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갑작스럽게 불어난 손실을 메우기 위해 14조원에 이르는 공적자금이 투입됐다. 예고 없이 불어닥친 구조조정 칼바람에 길바닥으로 쫓겨난 노동자는 1800명에 달했다. 거짓 장부에 속은 수많은 투자자도 피눈물을 흘렸다. 지금까지 진행된 손해배상청구 소송은 총 22건, 소송가액은 1594억원가량이었다. 한 기업의 거짓말에 국민만 손해를 본 셈이다.
고준영 더스쿠프 기자 shamandn2@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