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싱글여성의 재무설계

“미래가 아닌 현재를 살겠다. 그러면서도 노후는 대비하고 싶다.” 싱글족族이 흔히 품는 포부, 다시 말해 ‘마음껏 소비하되 노후를 위해 재테크의 왕도 되고 싶은 마음’이다.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이런 포부는 깨지기 쉬운 유리병과 다를 바 없다. 마음껏 쓰고 노후를 대비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단, 방법은 있다. 내 월급의 일부를 돌로 보면 된다. 답은 생활비 절약에 있다는 거다.

▲ 나쁜 지출 습관은 미래설계에 독이다.[일러스트=아이클릭아트]

같은 지출이라고 해도 좋은 지출과 나쁜 지출이 있다. 저축과 투자, 대출금을 상환하는 지출, 자기계발을 위한 비용은 미래에 도움이 되는 지출이다. 반면 과도한 생활비와 통신비, 의류비ㆍ미용비 등 들쭉날쭉하게 빠져나가는 소비성 지출은 그걸로 끝이다. 이런 소비성 지출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나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김진희(가명ㆍ35)씨는 전문직에 종사하는 싱글 여성이다. 월 소득 420만원. 또래들보다 많은 돈을 벌고 있지만 돈을 어떻게 절약하고, 어떻게 목돈을 만들고, 어떻게 재테크를 해야 하는지 지식이 거의 없다. 결혼 계획이 아직은 없으니, 노후 준비라도 철저하게 하고 싶지만 마음뿐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자산이 증가하기는커녕 지출이 늘어나는 느낌이다.

김씨는 불안한 마음에 1억5000만원짜리 오피스텔을 분양받아 최근 이사를 했다. 그런데 주거지(서울 은평구)와 회사(경기도 성남) 거리를 고려하지 않은 탓에 교통비(유류비)는 교통비대로 나간다.

무엇보다 김씨 가계부의 가장 큰 문제는 지출이 많다는 거다. 이래저래 매월 쓰는 돈(432만원)이 소득보다 많다. 지출을 구분하지 않아서다. 월 소득 중 일부는 내 돈이 아니라는 생각으로 저축ㆍ적금ㆍ보험ㆍ펀드 등에 의무적으로 지출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정확한 목표를 정해 자산을 분배하고, 목표자금을 준비해야 한다. 김씨는 이 모든 것이 준비돼 있지 않았다. 일단 소비를 줄여 저축 여력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다.

Q1 지출구조

 

김씨의 현금흐름표를 보면 어떻게 집을 장만했나 싶을 정도로 지출이 많다. 매달 12만원의 마이너스일 정도이니 말 다했다. 무엇이 문제일까. 420만원 버는 김씨가 한달에 쓰는 돈을 규모가 큰 순서대로 정리해보자. 식비를 포함한 생활비가 120만원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의류비(40만원)다. 교통비(30만원)ㆍ부모님 용돈(30만원)ㆍ미용비(15만원)ㆍ관리비 등 공과금(15만원)ㆍ통신비(11만원)ㆍ문화비(10만원)를 더하면 총 271만원을 쓴다. 여기까지만 해도 싱글여성의 한달 지출로 많다 싶은데, 문제는 이게 끝이 아니라는 거다.

자동차세금ㆍ경조사비ㆍ피부미용비ㆍ휴가비 등 연간 비정기 지출이 800만원에 이른다. 월 평균으로 환산하면 약 67만원. 이것까지 포함하면 김씨의 한달 지출은 338만원으로 껑충 뛴다. 거기다 보험료 61만원, 연금저축 33만원까지 빠져나가면 마이너스 12만원이라는 숫자가 찍힌다.

Q2 문제점

 

김씨는 ‘노후자금 마련’ ‘목돈 만들기’ ‘재테크’라는 재무목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나쁜 지출 습관으로는 목표를 이룰 수 없다. 무엇보다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 1인 가구의 생활비가 120만원이라는 건 낭비다. 매달 고정적으로 쓰는 의류비와 미용비도 많다.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이라도 해도 바짝 줄여야 한다. 11만원의 통신비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요즘은 5만원대 요금제로도 데이터를 마음껏 쓸 수 있다.

매월 평균 67만원에 달하는 비정기 지출은 더 심각한 문제다. 비정기 지출은 매월 지출 패턴을 변동시키는 것은 물론 신용카드의 늪에 빠지게 만들고, 저축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가령 매월 고정적으로 의류비ㆍ미용비를 지출하는 김씨가 비정기적으로 또 의류를 구입하고, 미용을 하는 건 말이 안 된다. 한마디 더 조언하면 연금으로 알고 잘못 든 보험도 손볼 필요가 있다.

Q3 개선점

 

매달 61만원씩 빠져나가는 보장성 보험, 종신보험은 각각 해약하고 실손보험과 건강보험에 가입해 매달 13만원씩 납입하기로 했다. 해약환급금 1800만원 중 800만원은 CMA에 거치했고, 1000만원은 저수지통장을 만들어 비정기 지출을 관리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월 소비 지출을 67만원 줄일 수 있다. 생활비는 외식을 줄여 90만원까지 조정했고, 의류비는 절반(20만원)으로 줄여보기로 했다.

이런 식으로 조정한 결과 180만원의 여유가 생겼다. 이를 투자성 연금(40만원), 펀드(30만원), 적금(20만원), 주택청약저축(5만원)에 재배치하고 CMA(70만원)에 넣어 그의 재무목표에 한발 다가설 수 있게 됐다.
천눈이 한국경제교육원 수석연구원  crimsonnunn@naver.com│더스쿠프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