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투자자문의 바른투자

해운업은 글로벌 경기의 흐름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는 대표적인 산업이다. 경기의 변동에 따라 수출입 물량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운업에 투자할 때 경기만 봐선 곤란하다. 글로벌 경기만큼 해운업의 이익 지표인 운임 지수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해운업이 부진한 지금 투자자는 언제 투자해야 할까. 해운운임 지수인 BDI(발틱운임지수)가 상승세를 탈 때가 타이밍이다.

▲ 글로벌 물류를 책임지는 해운업은 대표적인 경기민감 산업이다.[사진=뉴시스]

해운업은 선박을 이용해 원자재나 완성품을 운송하는 산업이다. 해운업은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나라에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수출입의 대부분이 해운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이다. 항공산업의 발전으로 항공 화물량이 증가한 건 사실이지만 석탄ㆍ철광석ㆍ원유를 비롯한 필수 원자재와 곡물ㆍ자동차 등은 여전히 해운을 통해 이뤄진다. 해운산업의 업황으로 세계 경기 흐름을 엿볼 수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일례로 글로벌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면 생산과 소비 증가로 원자재와 소비재들의 물동량이 증가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글로벌 해운사가 적자에 허덕인 원인도 경기침체에 따른 물량 감소에 있다. 그렇다면 해운산업은 어떻게 돈을 벌까. 해운업의 매출은 운임이다.

비용은 선박의 감가상각비와 선장ㆍ선원 등의 인건비를 포함한 고정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결국 물동량과 운임비가 일정 수준을 유지해야 이익을 남길 수 있다는 얘기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해운운임과 물동량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거다. 물동량(판매량ㆍQ)이 늘어나야 해운운임(가격ㆍP)도 올라가는 구조를 갖고 있어서다. 

문제는 해운업황이 나빠질 때다. 해운운임이 하락하고 물동량이 감소해도 운행 노선을 정리하는 건 쉽지 않다. 해운시황이 언제 좋아질지 예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노선을 철수할 경우 시장에 재진입해야 한다는 점도 난제다. 해운운임의 지표는 지역ㆍ노선ㆍ선박의 크기, 선박의 종류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선박의 종류별로는 크게 벌크선과 컨테이너선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벌크선은 석유ㆍ석탄ㆍ철광ㆍ곡물 등 원자재를 운송한다. 크기와 항로에 따라 케이프 운임지수(BCI), 파나마 운임지수(BPI), 수프라막스 운임지수(BSI), 소형 선박 운임지수(BHSI)로 구분된다. 이 4가지 지수를 모두 포함한 해운운임 지표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BDI(발틱운임지수ㆍBaltic Dry Index)다.

경기에 민감한 해운업

BDI는 글로벌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기 직전인 2008년 5월 BDI지수는 1만1793포인트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금융위기가 터진 직후인 2008년 12월 BDI지수는 663포인트까지 하락했다. 최근 900포인트대를 회복하긴 했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낮은 수준이다. 해운업계가 손실을 보지 않으려면 BDI가 최소 1000포인트를 넘어야 한다. 이 점을 감안하면 해운업의 침체는 현재진행형이다.

이렇게 경기에 민감한 BDI는 특히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중국의 수출입이 어느 국가보다 활발하고, 해운을 가장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수출입 경기가 글로벌 경제와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것도 이유다.

BDI는 중국뿐만 아니라 철광석의 유통과도 연동된다. 벌크선의 품목별 물동량을 살펴보면 철광석이 42.4%(2010년 기준)로 가장 많고 석탄(38.6%), 곡물(14.6%)의 순이다. 이런 철광석의 절반가량을 중국이 수입한다는 점은 흥미로운 요소다.

 

BDI가 배 전체의 운임이라면 컨테이너선은 박스당 운임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기노선의 유무다. 벌크선은 고객이 원하는 시기와 장소에 따라 운행하지만 컨테이너선은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있다. 벌크선은 화물차, 컨테이너선은 시내버스로 이해하면 쉽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선 사업을 하기 위해선 노선을 구축해야 한다. 하지만 한 해운사가 모든 국가에 화물을 운송하는 건 불가능하다. 비용이 많이 들고 효율성도 떨어져서다. 세계 굴지의 해운사가 해운동맹(얼라이언스)을 맺고 운행하는 이유다.

컨테이너선은 노선뿐만 아니라 수송율(탑승률)도 중요하다. 아무리 컨테이너 운임이 비싸도 텅 빈 선박을 운행하면 의미가 없다. 컨테이너선은 고정비가 높고 물동량에 상관없이 운행해 운임 상승과 함께 물동량 증가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 BDI와 마찬가지로 컨테이너 운임지수 역시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 해운업은 크게 벌크선과 컨테이너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사진=뉴시스]

국내 해운사는 업체별로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국내 업체 중 벌크선 비중이 높은 업체는 팬오션ㆍ대한해운ㆍSK해운 등이 있다. 팬오션은 소형선박이 많아 BHSI지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대한해운은 중형선박이 많아 BSI지수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BDI 지수 상승이 미치는 영향은 각 업체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대한해운은 벌크선 비중이 낮고 전용선이 많아 BDI 상승의 수혜가 크지 않을 수 있다.

BDI 지수 우선적으로 살펴야

이처럼 해운업체별가 보유한 선박 규모와 노선에 따라 다른 매출을 기록한다. 시장의 상황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조정해 업체별 명암이 엇갈리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세계 해운업계 8위에 이름을 올렸던 한진해운은 지난 2월 창립 40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에 따라 각 업체의 각 업체 운임의 특징을 파악하고 투자에 나서야 한다. 물론 BDI지수와 글로벌 경기, 특히 중국 경기를 살펴야 하는 건 기본이다. 운임이 실적에 연동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BDI 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섰을 때가 투자 타이밍이다.
정우철 바른투자자문 대표 www.barunib.com | 더스쿠프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