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의 Clean Car Talk

▲ 디젤차는 가솔린차보다 유류비가 낮고 연비가 높아 여전히 인기다.[사진=뉴시스]
디젤차가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설상가상으로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2030 디젤차 운행중지’를 내걸었다. ‘디젤차의 시대가 종언을 고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디젤차는 여전히 유류비가 낮고 연비가 높다. 버리기엔 아깝다는 얘기다. 공약 실천을 위한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중 눈에 띄는 자동차 공약이 있다. ‘2030년 디젤차 운행중지’다. 공약의 배경은 짐작이 간다. 2015년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사건으로 인해 ‘클린디젤’의 실체가 없다는 게 드러났고, 최근엔 디젤차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어서다. 친환경을 내세우는 정부로서 디젤차 규제는 당연한 조치다.

문제는 ‘2030년 디젤차 운행중지’ 공약이 실현 가능하겠냐는 거다. 장기적으로 볼 때 디젤차의 전망은 분명 어둡다. 신차 개념의 디젤차들은 매연저감장치(DPF) 등을 장착해 ‘유로6’라는 엄격한 환경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디젤 없애는 유럽

하지만 이 장치 역시 시간이 지날수록 기능이 떨어지거나 고장이 난다. 유해가스와 미세먼지의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도 많이 배출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디젤차 왕국이던 유럽에서도 ‘청정운행구역(LEZ) 제도’ 등을 도입, 노후 디젤차 규제에 나섰다. LEZ 제도를 시행하는 도시만 300개가 넘는다. 아직까지는 노후 디젤트럭(1.5~2.5t 이상)이 대상이지만 노후 승용디젤차로 규제가 확대되는 건 시간문제다.

국내에서도 수입 승용디젤차 판매량은 줄고 있다. 한때 수입차 판매량의 71.9% 수준까지 늘었지만,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사건 이후 약 63.4%까지 떨어졌다. 올해 1분기 판매량 기준으로는 가솔린과 디젤이 각각 50% 수준이다. 더구나 디젤차는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된 지 오래다. 디젤차 관련 규제는 점차 늘고 있다. 반대로 전기차의 단점은 개선되고 있다. 세계의 친환경 정책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이 때문에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로선 세계적인 친환경 흐름을 따라가야 할 이유도 분명하다.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디젤차 운행중지는 필연이라는 얘기다. 예상컨대 디젤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환경개선부담금 제도는 더욱 활성화될 것이고, 경유값은 올라갈 것이다. 유럽처럼 도심지 진입을 규제할 가능성도 높다. 승용디젤차 소유자는 점점 불편해지고, 친환경차 운전자는 점점 편해질 것이라는 얘기다. 

전망 어두워도 만족도 높은 디젤

그렇지만 생각해볼 문제가 있다. 현재 국내 소비자들에게 디젤차의 만족도는 꽤 높다는 점이다. 가솔린차보다 유류가격이 약 15% 저렴하고, 연비는 20% 이상 높다. 대규모 출력과 경제성 등 여러 면에서 아직 디젤차는 독보적인 영역을 당분간 지켜낼 가능성이 높다.

문재인 정부가 정책의 속도를 잘 조절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석유자원이 존재하면 디젤차도 당분간 운행될 거라는 전제로 정책을 펴야 한다. ‘2030년까지 운행중지’를 약속했다고 해서 막무가내로 밀어붙여선 안 된다. 미래의 먹거리와 환경, 경제와 건강은 서로 상충하는 주제다. 이해관계자들이 대립된 주장이 나올 게 뻔하다. 그래서 현명하고 치밀한 전략이 더욱 필요하다는 거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autoculture@hanmail.net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