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곡점 맞은 해외직구

▲ 매년 40% 이상 증가하던 해외직구 금액이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했다.
한때 열풍을 일으켰던 해외직구가 ‘변곡점’을 맞이했다. 무엇보다 품목이 의류·가방류 중심에서 건강식품으로 변했다. 해외직구 규모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환율 상승, 소비자 불만, 국내 유통업체의 대응 등이 이유다. 해외직구의 두가지 변화를 살펴봤다.

해외직구의 인기 품목이 변화하고 있다. 지난해 직구 품목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비타민제, 항산화제, 오메가-3 등 건강식품이었다. 2014년 211만건에서 261만건으로 23% 증가했다. 식품류와 전자제품도 같은 기간 415만7000건에서 518만5000건으로 늘었다. 반면 의류·신발·가방류의 해외직구 규모는 626만5000건에서 476만6000건으로 감소했다. 이런 결과는 지난해 12월부터 해외직구 물품에 대한 면세범위가 확대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존에는 물품가격·운임·보험료를 포함한 면세 기준이 한화 15만원(약 123달러)이었다. 그러나 범위가 확대되며 기준이 미화 150달러로 바뀌었다. 그러면서 약 30달러의 추가 구매가 가능해졌는데, 그에 걸맞은 품목이 건강식품이었던 것이다.

해외직구의 또 다른 변화는 규모 감소다. 해외직구 금액이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했다.
관세청이 분석한 2015년 해외직구물품 수입규모에는 15억2343만 달러로, 2014년(15억4492만 달러) 대비 1% 줄었다. 건수는 같은 기간 1553만건에서 1586건으로 증가했지만 그 비율은 2%에 그쳤다. 2011년 이후 매년 40% 이상 상승하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첫째 원인은 환율에 있다. 불확실한 경기에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서 직구족들이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실제로 환율이 오른 중국과 홍콩의 해외직구 규모는 각각 58%, 21% 감소했다. 미국의 해외직구 비중은 75%로 여전히 높았지만 환율 상승으로 증가율은 전년 대비 2%에 머물렀다. 반면에 환율이 하락한 유럽과 일본은 각각 115%, 54%로 해외직구 규모가 크게 늘어났다. 환율변수가 구매 수요를 미국·중국·홍콩에서 유럽·일본으로 이동시킨 셈이다.

소비자 불만이 늘어난 것도 해외직구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해외직구로 구매한 의류·신발·가방류는 반품·환불이 어려워 소비자의 원성이 자자하다.

셋째 이유는 정부 당국이 ‘되팔이 단속’을 강화한 것이다. 관세청은 해외직구로 구매한 후 웃돈을 받고 판매하는 ‘되팔이’를 적발했을 때 관세액의 10배와 물품 원가 중 높은 금액에 상당하는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관세법을 위반해 국내에 들어온 특송화물의 건수가 2012년 171건에서 지난해 243건으로 증가한 데 따른 조치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로 인해 해외직구가 줄었다. 해외직구를 통해 들여온 제품을 되파는 경우가 그만큼 많았다는 방증이다.

국내 유통업체들이 ‘코리아블랙프라이데이’ ‘K-세일데이’ 등으로 맞불을 놓고 있는 것도 해외직구 수요를 줄이는 요인이다.
하지만 국내 유통업체의 대응이 아직은 미미하다는 분석이 많다. 해외직구의 인기를 꺾어놓으려면 더욱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거다. 한 유통전문가는 “소품종 중고가를 구매하는 남성 직구족을 위한 IT제품, 여성·유아용 건강식품을 병행수입하는 사업을 촉진해 중장기적으로 해외직구 수요에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미란 더스쿠프 기자 lamer@thescoop.co.kr
도움말 | 김지효 유진투자증권 연구원 katarina@eugenefn.com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